•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실적 전망 철회, 어닝시즌 최대 우려…소매판매 주목[이번주 美 증시는]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5-04-14 [03:00] count : 13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촉발된 미국 증시의 롤러코스터 장세는 이번주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줄줄이 이어지는 가운데 향후 글로벌 무역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이 같은 변화가 기업들의 실적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 주간 일정_0413/그래픽=김현정

미국 증시 주간 일정_0413/그래픽=김현정
지난주 미국 증시는 역사에 남을 만한 거친 변동성 장세를 연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충격적인 고율 상호관세 발표에 중국이 보복관세로 맞불을 놓자 국채수익률까지 급등하며 불안감이 고조됐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엔 상호관세 시행을 90일 유예하기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폭등세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S&P500지수는 지난 9일 9.5% 급등했는데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루 최대 상승률이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3번째로 큰 상승률이다. 이에 따라 S&P500지수는 지난주 5.7% 올랐다. 다우존스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5.0%와 7.3% 상승했다.

미국 국채시장도 지난주 10년물 국채수익률이 한 때 4.5%를 빠르게 돌파하며 투자자들은 당혹스럽게 만들며 혼란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국채수익률 급등으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결정을 내렸다고 추정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상대에 대해 100%가 넘는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미국과 나머지 국가들 사이에는 관세 협상이 진행되면서 미국 금융시장은 이번주에도 짙은 불확실성 속에 변동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스리-쿠마르 글로벌 스트래티지스의 사장인 코말 스리-쿠마르는 "내가 원하는 것은 확실성인데 확실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며 "나는 경제정책의 확실성을 원하고 관세율이 높은 수준에서 결정된다고 해도 그것이 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올 1분기 어닝 시즌이 개막한 가운데 이 같은 정책적 불확실성은 기업들의 향후 실적 불확실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 실적을 발표한 델타항공은 지난달 하향 조정했던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재확인하지 않았다. 이는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할인점 업체인 월마트는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기존에 제시했던 올 1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철회했다.

지난 11일 실적을 발표한 JP모간 체이스의 최고경영자(CEO)인 제이미 다이먼은 S&P500 기업들의 순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것이고 많은 기업들이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시버트 파이낸셜의 투자 책임자인 마크 말렉은 "이번 어닝 시즌에는 의자 팔걸이를 꽉 잡고 버텨야 한다"며 "올 1분기 실적은 물론 향후 실적 가이던스까지 전망치를 웃도는 기업보다 밑도는 기업이 많아 어닝 서프라이즈보다 어닝 쇼크가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어닝 시즌에는 기존 실적보다 향후 가이던스가 더욱 중요한데 이번에는 특히 더 그럴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온통 관세가 기업들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쏠려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향후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거나 제시하더라도 하향 조정하고 평상시보다 크게 확대된 범위로 내놓는다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기업들의 순이익은 올해 10.7%, 내년에 14.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 역시 앞으로 낮아질 것이 확실시된다.

마호니 자산관리의 CEO인 켄 마호니는 "우리에겐 경기 침체보다 실적 침체가 더 중요하다. 실적이 실제로 주가를 움직이는 동인이기 때문"이라며 "지금은 실적 성장세가 둔화되는 것으로 보여 결국 올해 증시는 하락으로 마감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번주에는 14일에 골드만삭스, 15일에 씨티그룹과 뱅크 오브 아메리카, PNC 파이낸셜 서비스 그룹, 16일에 U.S. 뱅코프 등 지난주에 이어 금융회사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진다. 또 15일에 유나이티드 항공과 존슨&존슨, 17일에 넷플릭스와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이 실적을 공개한다.

경제지표로는 오는 16일에 나오는 지난 3월 소매판매가 가장 중요하다. 지난 3월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관세 정책들을 발표하거나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소비자들의 지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주목된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40 ‘파월 때리기’에 달러 3년 만에 최저…환율 1420원 하.. 파생인닷컴 2025-04-22 128
1739 Fed 흔드는 트럼프에 '미국 투매'…주식·국채·달러 급락.. 파생인닷컴 2025-04-22 103
1738 中 증시 ‘애국 매수’ 열풍, 한달새 ETF 62조원어치 .. 파생인닷컴 2025-04-21 138
1737 美 Fed 위원의 경고…"기업들 재고 비축 끝나면 여름에 .. 파생인닷컴 2025-04-21 115
1736 트럼프와 파월의 합작 ‘약달러’…환율 1410원대로 하락[.. 파생인닷컴 2025-04-17 145
1735 AI칩 대중 수출 통제 강화·파월 경고에 기술주 급락 [뉴.. 파생인닷컴 2025-04-17 114
1734 ‘달러 급락’ 쇼크…환율 1410원대 진입 시도[외환브리핑.. 파생인닷컴 2025-04-14 135
1733 실적 전망 철회, 어닝시즌 최대 우려…소매판매 주목[이번주.. 파생인닷컴 2025-04-14 132
1732 관세 공포에 ‘달러 사자’…환율 1470원대 지속[외환브리.. 파생인닷컴 2025-04-01 199
1731 상호관세 앞두고 주요 지수 혼조…테슬라 또 하락 [뉴욕증시.. 파생인닷컴 2025-04-01 158
1730 상호관세 경계에 달러 약세…환율 1460원 초반대로 하락[.. 파생인닷컴 2025-03-26 218
1729 관세 완화 기대감이 누른 경기둔화 우려…나스닥 0.4%↑ .. 파생인닷컴 2025-03-26 163
1728 관세 유연성-달러 강세…환율 1460원대 지지력[외환브리핑.. 파생인닷컴 2025-03-25 173
1727 상호관세 우려 완화에 3대지수 상승…테슬라 12%↑ [뉴욕.. 파생인닷컴 2025-03-25 159
1726 美침체 우려 완화 속 달러 약세…환율 1440원선으로 하락.. 파생인닷컴 2025-03-18 182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