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완만해진 美금리인하 경로…환율 1430원 중심 흐름[외환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4-12-12 [01:36] count : 280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430원을 중심으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은 다소 줄었으나, 미국의 향후 금리 인하 경로가 다소 완만해지면서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며 환율 상승 압력은 클 것으로 보인다.

사진=AFP

12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28.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1.65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32.2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2.55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30.9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32.2원)보다는 1.3원 내렸다. 미국의 소비자물가 안도감에 환율이 오름폭을 축소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7%로 월가가 집계한 예상치(2.7%)와 같았다. 전월 대비로는 0.3% 올랐다. 역시 시장 예상치(0.3%)에 부합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변동성이 큰 식음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도 예상에 부합했다. 11월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3.3% 각각 올랐다.

시장은 일단 인플레이션이 심각히 악화된 것은 아닌 만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7~18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 추가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Group)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따르면 연준이 다음 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2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하할 확률은 98.6%, 현 수준(4.50~4.75%)에서 동결할 확률은 1.4%로 반영됐다.

다만 내년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상치에 부합한 결과이지만, 한때 전년동월 대비 2.4%까지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두 달간 반등하며 하방 경직적인 모습이다.

물가 서프라이즈는 없었으나 내년 연준 금리 인하 경로가 보다 완만해진 영향에 달러는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11일(현지시간) 오후 6시 25분 기준 106.60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 106 초반대에서 중반대로 오른 것이다.

아시아 통화는 약세다. 달러·엔 환율은 152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27위안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위협에 맞서기 위해 달러당 7.5위안까지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수도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자, 위안화는 약세를 나타냈다. 로이터는 중국의 최고 지도자와 정책 입안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2기에서 무역 관세 인상에 대비해 내년 위안화 약세를 허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엔화는 다음주 금리 인상을 미룬다고 해도 큰 비용이 수반되지 않는다는 일본은행(BOJ) 인사의 발언에 약세를 나타냈다.

이날 글로벌 달러 강세와 주요 아시아 통화 약세를 반영하며 환율은 상승 압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장중 정국 불안이 가중되는 소식이 전해진다면 환율 상승 속도는 가팔라질 수 있다. 하지만 정부는 연일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환율 상단에서는 외환당국의 개입 경계감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탄핵소추안을 보고한다. 민주당은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은 예정대로 14일 오후 5시 본회의에서 한다는 방침이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65 NH투자증권 "美 금리인하 3월→6월…한국은 2월 인하 예.. 파생인닷컴 2025-01-13 227
1664 美고용 서프라이즈…환율 1470원대로 레벨 업[외환브리핑].. 파생인닷컴 2025-01-13 189
1663 강달러 부담 속 中위안화 약세 방어…1450원대로 무거워질.. 파생인닷컴 2025-01-10 199
1662 美 Fed 위원들 "금리인하 신중해야"…올해 1회 인하 가.. 파생인닷컴 2025-01-10 200
1661 美예외주의 VS 국민연금 환헤지…환율 1450원대 공방[외.. 파생인닷컴 2025-01-08 245
1660 엔비디아 실망감·인플레 우려에 하락…나스닥 1.9%↓ [뉴.. 파생인닷컴 2025-01-08 246
1659 약달러에도 굳건한 亞통화 약세…환율 1460원대 지지력[외.. 파생인닷컴 2025-01-07 185
1658 "AI 랠리 계속된다" 폭스콘 호실적에 상승…엔비디아 최고.. 파생인닷컴 2025-01-07 157
1657 새해에도 꺾이지 않는 ‘강달러’ 위용…환율 1470원대로 .. 파생인닷컴 2025-01-03 226
1656 새해 첫날에도 하락…테슬라, 차량 판매량 '쇼크'에 6%↓.. 파생인닷컴 2025-01-03 190
1655 새해 첫 거래도 약세 마감… '산타랠리' 실종 [데일리국제.. 파생인닷컴 2025-01-03 172
1654 연말까지 지속되는 정국 불안과 강달러…환율 1460원대 진.. 파생인닷컴 2024-12-26 238
1653 “올해 美 개미가 가장 많이 산 종목은 테슬라 아닌 엔비디.. 파생인닷컴 2024-12-26 258
1652 한산한 연말 속 수급 공방…환율 1440원대 고점 다지기[.. 파생인닷컴 2024-12-23 297
1651 美 증시, 이번 주 '산타랠리' 올까…비관론 고개 파생인닷컴 2024-12-23 228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